음악용 캠코더
소니에서 HDR-MV1 이라는 음악녹음용 캠코더가 나왔지만 단종(?)되면서 구형 제품이 비싸게 팔린다.
대체제로 음악용 녹음기로 유명한 Zoom에서 나온 Q8 이 있다. XY 스테레오 팝업 마이크를 지원하며 영상은 1080p 정도를 지원한다. 4K 해상도를 원한다면 후속인 Q8n-4K 제품을 고른다.
![]() |
![]() |
![]() |
Sony HDR-MV1 | Zoom Q8 | Zoom Q2n-4K |
Q8은 MV1보다 우월하지만 일반 캠코더 사이즈라 레슨이나 공연등에서 꺼내기 불편할 수 있다. 이럴 땐 액션캠 크기의 Q2n-4K 이 해답이 될 수 있다.
스마트폰용 외장 마이크
스마트폰을 쓰게 되면 영상녹음, 편집, 전송이 자유롭다. 내장 카메라는 충분하지만 음악녹음용으로 내장마이크는 약하다.
아이폰을 사용하고 있어서 우선 라이트닝 포트에 꼽는 외장 마이크를 찾아봤더니 Shure MV88 이 유명하다.

그외에도 Zoom iQ6가 있지만 이 둘의 단점은 케이스 끼면 안꼽힌다는점이다.

USB 마이크
(주의) 이 방법은 USB 지원 마이크를 이미 소유하고 있을 경우에 추천이다. 새로 장만해야 한다면 에코시스템이 잘 갖춰진 MV88+를 추천한다.
레슨다니다 보면 휴대용레코더를 장만하게 된다. USB 마이크로 동작하는 모델일 경우 삼각대에 장착하고 폰의 USB-C 단자에 연결하여 홈레코딩용 마이크로 사용할 수 있다.
Zoom H1n | ![]() |
$100 | USB 마이크 가능. 더 좋은 성능을 원한다면 H5 |
Tascam DR-07X | ![]() |
$140 | USB 마이크 가능 DR-05X라는 저렴한 모델이 있지만 마이크가 Y형태로 고정이고, 이모델은 X/Y 가변이다. |
라이트닝 포트만을 지원하는 구형 아이폰이라면 Camera Adapter를 사용하여 연결한다.
아이폰의 기본 카메라 앱은 마이크 설정이 없기에 Blackmagic Camera 앱을 설치하고 앱 설정에서 연결된 마이크를 고른다.
![]() |
![]() |
Camera Adapter | Blackmagic Camera |
이 방식의 장점은 폰으로의 입력이 디지털이라는 점이다. 전문 녹음장비의 경우 아날로그-디지털 변환 성능이 폰의 그것보다 좋다.
(주의) 앱의 문제인지 마이크와의 궁합의 문제인지는 모르겠으나 Blackmagic Camera를 사용할 때 마이크 볼륨의 크게 설정되어 음의 왜곡이 일어난다. 녹음하기전에 미터기를 보며 녹색과 노란색 부근에서 음이 움직이도록 설정해야 한다. 경험상 게인을 40% 정도로 낮추어야 했다.
디지털 카메라 + 스테레오 마이크
디지털 카메라가 고해상도 동영상까지 지원하면서 소니같은 메이저 회사들은 캠코더 대신 DSLR이나 컨텐츠 제작자용 카메라에 집중하고 있다. 디지털 카메라에 스테레오 마이크나 휴대용 레코더를 AUX 단자에 연결하여 아날로그 입력을 녹음한다.
![]() |
![]() |
Tascam TM-2X | Zoom H5 연결 |
편집 소프트웨어
맥에서는 무료 제공 편집 소프트웨어인 iMovie로 동영상을 편집, MP4로 저장가능하다. (정리글 참고)
'홈레코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악기 녹음용 USB 마이크 정리 (1) | 2024.08.08 |
---|---|
iMovie로 오디션 영상 편집 (0) | 2023.11.26 |
현악기 오디션 제출용 홈레코딩 (0) | 2023.11.24 |
현악기 녹음용 콘덴서 마이크 정리 (0) | 2023.11.22 |